본문 바로가기

ETF 및 주식/무작정따라하기_ETF_해외_실전

미국항공우주ETF_알아보기_초보_주식_개념!!

 

최근 일론 머스크가 스페이스X를 설립하여 민간기업 최초로 로켓을 우주 궤도에 올려놓고, 또한 최초로 로켓을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인류의 우주 진출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버진 갤러틱이 준궤도 우주공간을 경험하는 관광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아마존 전 CEO 제프베조스 역시, 우주산업 투자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아래 표와 같이, 많은 글로벌 기업에서도 항공우주산업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스페이스 X : 올해 안에 관광용 우주선을 출발시키겠다고 선언한 3개 회사가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페이팔을 매각한 대금 15억달러를 기반으로 2002년 설립한 스페이스X, 제프 베조스가 2000년 아마존 주식을 팔아 투자한 블루 오리진, 영국 버진그룹 회장인 리처드 브랜슨이 2004년 설립한 버진갤럭틱입니다.
아크인베스트가 테슬라에 선제적으로 투자해온 만큼 ARKX ETF 편입 종목으로 가장 유력한 기업은 단연 스페이스X인데요. 하지만 스페이스X는 비상장 기업으로 당장 편입되기는 어렵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9월 트위터를 통해 몇 년 안에 스페이스X의 위성인터넷 사업부 스타링크(Starlink)를 기업공개(IPO) 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스타링크는 상장 즉시 ARKX에 편입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스페이스X는 올해 2분기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가서 10일간 여행하고 돌아오는 크루드래곤을 출발시킬 예정입니다. 화성 이주를 꿈꾸는 일론 머스크는 2023년을 목표로 빅 팔콘 스타십의 심우주 여행도 준비 중입니다. 스페이스X는 지금까지 사모로 54억달러를 조달했는데요. 지난해 8월 기준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는 443억달러로 10년만에 2300배 성장했습니다.
스페이스X는 발사수입과 위성인터넷 사업이 핵심사업입니다. 지난해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 허가를 받은 로켓 발사 23건 가운데 12건이 스페이스X의 로켓 발사였습니다. 발사수입은 2018년 기준 20억달러로 추정되며 아직까지는 NASA에서 얻은 수익이 대부분입니다. 향후 위성로켓 발사수요가 늘어날 경우 본격적인 수익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타링크’로 불리는 위성인터넷 사업은 스페이스X의 핵심 사업부입니다. 기존 정지궤도(36,000km)를 이용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와 달리 저궤도(340~1100km) 소형 위성을 이용해 지구 전역에 1Gbps급 초고속 인터넷을 구현한다는 계획입니다. 블루오리진 역시 올해 중 뉴 셰퍼드를 타고 고도 100km까지 올라가 몇 분간 무중력 상태를 체험 후 지구를 관찰하는 관광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달 정복을 목표로 하는 블루오리진은 올해 정지궤도까지 화물을 실어 나르는 로켓 뉴글렌의 첫 시험 비행이 예정돼 있습니다. 
블루오리진도 저궤도 위성인터넷 사업 카이퍼 프로젝트를 2019년 4월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유인우주선 발사나 인공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는 기술을 입증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실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최초의 민간 우주여행사 : 버진 갤럭틱은 민간우주여행 상용화에 가장 앞서고 있습니다. 이미 700여명의 예비 탑승객에게 환불 가능한 보증금 1000달러를 받았으며 올해 1분기 준궤도 비행체 VSS 유니티를 출발시킬 예정입니다. 로켓 형태가 아니라 항공기에서 2차 추진을 통해 준궤도에 도달한 후 활강비행을 통해 지상으로 돌아오는 방식입니다. 버진갤럭틱의 또 다른 핵심사업은 초음속 항공기 개발입니다. 지난해 8월 첫 디자인을 공개했는데, 마하3급으로 서울에서 방콕까지 1시간만에 돌파 가능한 속도라고 합니다. 버진갤럭틱은 2019년 10월 스팩 방식으로 뉴욕거래소에 상장했습니다. 버진갤럭틱은 ARKX 편입이 유력한 종목으로 꼽히면서 23달러였던 주가는 32달러를 돌파했습니다.
2017년 버진갤럭틱에서 분사된 소형 위성용 로켓 발사업체 버진오빗 역시 스팩(VGAC)을 통해 상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버진오빗은 지난 18일 위성발사에 성공했습니다. 비행기로 로켓을 상공으로 실어 올린 뒤 로켓을 발사하기 때문에 지상발사 방식보다 저렴한 것이 장점입니다.

*재사용 로켓 분야 : 아크인베스트가 가장 처음 꼽은 ARKX의 투자처는 재사용 가능한 로켓 기업입니다.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로켓 발사체를 재사용 하는 게 핵심입니다. 일론 머스크는 비행기처럼 로켓 발사체를 재사용할 수 있다면 비용을 100분의 1로 낮출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아직 완벽하게 재사용이 가능한 발사체는 없습니다. 스페이스X만이 1단 로켓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블루 오리진은 로켓 재활용 기술까지 성공했습니다.
이밖에 버진갤럭틱, 비상장사인 로켓랩,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합작사인 ULA도 1단 재사용 로켓을 개발 중입니다. 

*궤도 및 저궤도 비행체 분야 : 궤도 비행체와 저궤도·준궤도 비행체 관련 분야에서는 버진 갤럭틱과 함께 막사테크놀로지(MAXR)가 유력한 기업으로 꼽힙니다.1969년 설립된 막사테크놀로지는 지구관측 서비스와 궤도를 따라 운행하는 위성서비스에 특화된 기업이다. 지리정보 데이터 분석 등 서비스하는 시큐어워치를 정부와 민간 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지난해 12월 발사된 시리우스XM(SIR)의 SXM-7 위성을 제조한 회사도 막사테크놀로지입니다. 우주선 스타트업 모멘터스는 스팩(SRAC)을 통해 상장을 앞두고 있는데요. ARKX 출시 소식에 SRAC 주가 역시 급등했습니다. 모멘터스는 우주정거장이나 위성으로 필요한 물품을 운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로켓 추진장치 제조기업인 에어로젯 로켓다인(AJRD)도 ARKX 편입 후보로 꼽힙니다. 1942년 설립된 회사로 최근 다단계 연소방식의 차세대 로켓 엔진 AR1을 완성시켰습니다. 록히드마틴(LMT)은 지난해 12월 에어로젯 로켓다인을 46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으며 최종 인수는 올해 하반기 완료될 예정입니다.

*항공드론 및 3D 프린팅 분야 : 중국의 대표 항공드론 기업으로 나스닥에 상장한 이항홀딩스(EH)는 자율주행 드론택시 사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여의도에서 인천공항까지 자율주행 드론택시 시연을 했는데 이 드론이 이항의 제품이었습니다. 이항은 아직 적자 상태이지만 매출 성장세가 매우 가파른데요. 매출은 2019년 1749만달러에서, 지난해 3232만달러, 올해는 8917만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입니다.
농업용 무인 드론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미국 기업 에이지이글 에이리얼 시스템(UAVS)도 주가 상승세에 올라탔습니다.
또 미국과 인도에서 헬리콥터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블레이드는 스팩 상장을 앞두고 있는데요. 블레이드와 합병한 스팩(EXPC) 주가도 ARKX 출시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3D 프린팅 산업도 미래 우주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텐데요. 아크인베스트가 이미 투자하고 있는 3D 프린팅 기업으로는 나노 디멘션(NNDM)이 있습니다.] (Ft. 한경기사)

 

미국에 상장된 항공우주(Aerospace)/방위(Defense) 산업에 투자하는 ET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년 1년 수익률만으로 볼때, -70.62% ~ 14.52%를 보이고 있습니다.(레버리지 포함, 아래 표 참조.)

 

티커 이름 분야 설립입 자산 1년 수익률 분배금 보수 거래량
XLI Industrial Select Sector SPDR Fund 항공우주
방위
Dec 16, 1998 $15,980,100 8.69% 1.53% 0.12% 10,437,478.0
VIS Vanguard Industrial ETF 항공우주
방위
Sep 23, 2004 $4,125,830 10.47% 1.345 0.10% 176,351.0
JETS U.S. Global Jets ETF 항공우주
방위
Apr 28, 2015 $2,948,230 -28.96% 0.045 0.60% 5,672,501.0
ITA iShares U.S. Aerospace & Defense ETF 항공우주
방위
May 05, 2006 $2,742,890 -14.70% 1.645 0.42% 298,783.0
IYJ iShares U.S. Industrials ETF 항공우주
방위
Jul 14, 2000 $1,305,110 -42.08% 1.475 0.42% 103,043.0
XAR SPDR S&P Aerospace & Defense ETF 항공우주
방위
Sep 28, 2011 $1,298,070 5.16% 0.575 0.35% 99,319.0
FXR First Trust Industrials/Producer Durables AlphaDEX Fund 항공우주
방위
May 08, 2007 $1,222,340 11.19% 0.99% 0.64% 464,070.0
FTXR First Trust Nasdaq Transportation ETF 항공우주
방위
May 08, 2007 $888,027 14.52% 0.99% 0.64% 209,229.0
PPA Invesco Aerospace & Defense ETF 항공우주
방위
Oct 26, 2005 $680,246 -0.74% 0.86% 0.59% 45,517.0
FIDU Fidelity MSCI Industrials Index ETF 항공우주
방위
Oct 21, 2013 $600,494 11.82% 1.24% 0.08% 122,554.0
DFEN
(3배
레버리지)
Direxion Daily Aerospace & Defense Bull 3X Shares 항공우주
방위
May 03, 2017 $275.97 -70.62% 0.44% 0.99% 2,301,821
UFO Procure Space ETF 항공우주
방위
Apr 11, 2019 $94.4 M -3.30% 0.87% 0.75% 256,661
ARKX 3월말 론칭 계획 항공우주
방위
- - - - - -

과거 주가 그래프를 확인해보았습니다.

상위 3개, 노란색 ITA, 진한보라색 XAR, 주황색 PPA 가 오랫동안 다른 상품대비 높은 주가 그래프를 보여왔습니다.

 

[개별 상세 ETF 정보]

 

1.XLI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니웰 5.26%, UNP 5.09%,보잉 4.17%, 3M 3.87%, 록히드마틴 3.12%, 페덱스 2.31%, 레이시온(RTX) 4.08% 등....

미국 소재, S&P 500 에 포함되는, 항공방위 분야 18.28%, 기계장비 분야 28.03%, 운송/물류 분야 20.01%, 여객운송 분야 3.04%, 대기업 분야 15.26%, 자동차/자동화 1.26%, 기타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2.VIS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니웰 4.23%, UNP 4.00%, UPS 3.37%, 보잉 3.25%, 3M 2.85%, 록히드마틴 2.53%, 페덱스 1.83%, 레이시온(RTX) 3.09% 등....

미국 99.16%, 캐나다 0.84% 비중으로 관련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항공방위 분야 15.74%, 기계장비 분야 28.32%, 운송/물류 분야 16.60%, 여객운송 분야 2.51%, 대기업 분야 11.97% 건설 1.83%, 기타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3.JETS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세계 여객 항공 산업 분야/회사에 집중투자하는 회사입니다.

미국 67.69%, 캐나다 6.83%, 홍콩 6.46%, 일본 2.91% 등....항공 산업에 집중투자하고 있습니다.

대형 여객 항공 분야 74.46%, 공항 서비스 11.635, 항공우주방위 6.21%, 항공운송 분야 6.58% 등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4.ITA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잉 18.75%, 록히드마틴 5.32%, 레이시온(RTX) 18.17%, 버진캘러틱(SPCE) 2.08% 등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 관련 부품 및 개인/상업 항공운송에 사용되는 항공기 부품 및 항공기 제조/조립/공급에 관련한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미국 99.26%, 캐나다 0.74%의 비중으로 각국에 투자하고 있으며, 항공우주방위 분야 91.93%, 전자장비 4.39%, 통신 0.74% 등의 비중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PPA보다는 상당히 운용비용이 저렴한 편입니다.

 

5.IYJ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페이팔 7.42%, 허니웰 3.175, UNP 3.07%, UPS 2.65%, 보잉 2.52%, 록히드마틴 1.88%, 레이시온(RTX) 2.46% 등...

항공방위 분야 12.12%, 기계장비 분야 22.04%, 운송/물류 분야 12.79%, 여객운송 분야 12.61%, 대기업 분야 9.52% 기타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6.XAR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버진갤러틱(SPCE) 5.64%, AXON 5.26%, 막사테크놀로지(MAXR) 4.78%, 에어로켓로켓다인(AJRD) 4.14%, 레이시온(RTX) 3.43% 등...

미국 96.175, 캐나다 3.83% 비중으로 각국에 투자되고 있으며, 항공우주방위 분야 87.43%, 통신 3.83%, 전자장비 3.65%, 산업기계 1.52% 비중으로 투자되고 있습니다.(관련 산업 투자 비중은 40/40/20=대:중:소기업을 유지하고자 하는 상품입니다.)

7.FXR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8.FTXR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테슬라 10.29%, 포드 9.08%, GM 8.78% 등..

잠수함, 기차, 트럭, 공항, 비행기, 교량, 터널, 자동차, 자동화부품, 운송/배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동성, 현금/가격 비중 등에서 좋은 30개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육상화물 분야 33.43%, 자동차/트럭 제조 25.80%, 항공 운송 분야 14.93% 등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9.PPA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레이시온(RTX) 6.62%, 보잉 6.23%, 허니웰 6.20%, 록히드마틴 6.19% 등..

국방, 방위, 가정 보안,, 우주산업분야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미국 96.43%, 캐나다 2.20%, 이스라엘 1.37% 비중으로 각국 관련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항공우주방위 분야 59.57%, 대기업 분야 6.81%, 전자부품 분야 3.54%, 건설 분야 3.26%, 커뮤니케이션 2.87%, 산업기계 분야 2.12% 등의 비중으로 투자되고 있습니다.

 

10.FIDU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XLI 와 비슷한것 같습니다.

MSCI USA IMI 지수를 추종합니다. 미국 99.14%, 캐나다 0.86% 비중으로 투자되며, 기계장비 28.85%, 운송 16.88%, 항공우주방위 16.15%, 대기업 12.22%, 홈빌딩 2.56%, 건설 1.87%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되고 있습니다.

 

11.DFEN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 14.10%, 보잉 12.71%, 레이시온(RTX) 12.49%, FTXX 8.51%, 록히드마틴 3.63% 등..

 

이 ETF는 다우존스 미국 셀렉트 항공 우주 및 방위 지수의 일일 실적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주로 항공 운송에 사용되는 항공기 및 항공기 부품 제조업체, 조립 업체 및 유통 업체 및 방위 산업 부품, 장비 생산 업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명항공 업체 보잉 12.71%, 항공기용 엔진과 통신장비를 생산하는 대기업 ‘레이시온 테크놀러지스’가 12.49%가 포함되어 있는 만큼 항공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100% 미국기업에만 투자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작년 코로나로 인한 항공업계의 타격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완만한 상승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경기회복에 기대를 거신다면 눈여겨봐야 할 ETF 입니다.

 

 

12.UFO

상위 15개 보유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68.185, 일본 9.47%, 프랑스 6.39%, 캐나다 5.05%, 룩센버그 4.81%, 이탈리아 4.625 등..

커뮤니케이션 27.44%, 무선통신 24.19%, 방송 16.01%, 소프트웨어 5.11%, 대기업 1.59% 등의 비중으로 투자되고 있습니다.

 

14.ARKX

3월말 런치 예정이며, 이후 추가 자세한 정보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캐시우드의 아크인베스에서 운영하게된 액티브 제품으로, 편입 종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아크인베스트 홈페이지에 나온 투자 기업 분야를 보면 어떤 기술분야가 편입될 지가 가늠이 됩니다. 주요 투자분야는 재사용 가능한 로켓,궤도 비행체(인공위성·발사체),저궤도·준궤도 비행체(전기항공기·무중력체험선),항공드론,3D 프린팅,구현기술(인공지능·로봇·에너지저장)입니다.

 

 

위 해당 ETF 들이외, 아래 링크의 다양한 여러 분야에 특화된 ETF들도 함께 검토해보시면, 전반적인 산업흐름과 ETF 투자에 보다 더 좋은 Insight을 넓히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